목차
-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 매출액, 영업이익 성장률, ROE, 영업이익률, PER
- 고성장률형 기업
- 고ROE형 기업
- 고영업이익률형 기업
고성장률형 기업
- 외형(매출액)과 이익(영업이익, 순이익)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는가
- 산업의 성장률보다 기업의 성장률이 더 높은가
- 장기간에 걸쳐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가
- 최근 사업연도의 성장률이 지난 3년 평균 성장률보다 높은가
매출이익 = 매출액 - 매출 원가(재료, 공장운영비)
영업이익 = 매출이익 - 판매비 및 관리비(운영비, 광고비, 기타 관리비)
고ROE형 기업
- ROE(return on equity) = 자산을 얼마나 수익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가, 사업을 통해 주주가 맡긴 돈을 얼마나 잘 운용하고 있는가
- ROE가 은행 금리보다 낮은 기업에는 투자할 이유가 없다.
- 기업의 가치는 자산, 수익, 무형가치 세 가지로 이루어지는데, ROE가 높은 기업은 자산가치를 활용해 효율적으로 수익을 만들어낼 수 있다. 즉, 자산이 수익으로 연결될 때 그 규모는 ROE로 인해 결정된다는 뜻.
- ROE는 순이익을 평균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이다. 부채는 '자기자본'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부채를 얻어 수익을 높이는 경우에도 ROE는 더욱 높아지게 된다.
고영업이익률형 기업
- 영업이익률 : 매출액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중
- 가격결정력이 없는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낮은 경우, 원가가 상승했을 때 마진이 감소하며, 최악의 경우 역마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
- 영업이익률이 고르지 않고 들쭉날쭉하다면 비즈니스 모델이나 시장 지배력을 의심해봐야 한다
- 영업이익률은 업종별로 차이가 있기에 모든 기업에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 그러나 다른 지표와 적절히 사용한다면, 기업의 경쟁력, 수익성, 가격결정력, 시장지배력 등 많은 부분을 검증할 수 있다.
저PER형 기업
- PER(price / earning ratio)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기업의 가치가 1년간 버는 돈의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가
- 단점 :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하나, 당기순이익은 순수하게 영업을 통한 이익 외에 이자수입 또는 자산매각 등으로 인한 특별이익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같은 1회성 이익이 다음 해에도 같은 이익을 낸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이런 경우 기업가치를 왜곡할 수 있다.
- 따라서 영업이익, 경상이익, 당기순이익의 관계를 함께 파악해야 한다.
- 또 PER은 기업의 자산가치가 아닌 수익가치만 나타내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 PBR : 주가순자산비율,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 측정하는 지표
- BPS : 주당순자산 = (자기자본-무형자산-이연자산+이연부채) / 기말발행주식수, 수치가 높을수록 기업의 자산이 많다.
- ROA : 부채를 포함한 총자산으로 얼마나 벌었나를 나타내는 비율, 당기순이익 / 평균 총자산X100
주주를 좋아하는 기업
기업이 자사주 매입과 배당을 통해 주식시장에 자금을 공급하는 구조는, 주식투자가 단순히 주식을 싼값에 사서 비쌀 때 파는 제로섬 게임이 아니라, 수익성이 좋은 기업에 투자하면 그 기업의 부가 자연스레 주식가치에 추가된다는 논리로 장기투자와 가치투자에 대한 당위성을 부여한다.
우리나라의 주가 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다는 말은, 주가와 기업실적만을 가지고 따진 것일 뿐, 주주를 등한시하는 기업들의 태도에서 보면 합당한 수준이다. 기업이 아무리 이익을 많이 낸다 하더라도 그것이 주주에게 돌아오지 못한다면 투자자들은 기피하게 마련이고 그로 인해 낮은 가치를 받을 수밖에 없다. p259
배당수익률=배당금 / 주식매입평균가, 배당투자는 주가의 움직임에 따른 배당수익률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안전마진을 확보한 상태에서 매수 후 장기간 보유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1 최준철 김민국 저
목차가치투자의 정의가치투자의 효용은 무엇인가안전마진기술적 분석 가치주 발굴 1 가치투자의 정의재정의된 가치투자는 다른 기업과 차별화된 탁월한 가치를 가진 기업을 찾고, 그 기업이
bookcamp.everybookworld.com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2 최준철 김민국 저
목차가치주 발굴 2 - 기업을 보는 눈기업은 결국 사람이다오해를 풀면 수익이 보인다 불경기 속 선두형 기업 기업을 보는 눈좋은 비즈니스란 어떤 것인가, 어떤 기업이 좋은 비즈니스를 가장 잘
bookcamp.everybookworld.com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이 책은 서울대 투자연구회 출신 저자들이 체험하고 증명한 가치투자의 방법론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히트상품형 기업, 브랜드형 기업, 자연독점형 기업, 자사주 매입형 기업 등 22가지의 기업 유형과 사례를 보여주며 한국형 가치투자의 방법을 제시한다.
- 저자
- 최준철, 김민국
- 출판
- 이콘
- 출판일
- 2016.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