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일매일 경제 뉴스

미중 관세난타전, 보복에 또 보복, SK하이닉스 D램 글로벌 점유율 1위, 삼성 33년 만에 제쳤다

by mcamp 2025. 4. 10.

미중 관세난타전, 보복에 또 보복

 

보복에 또 보복 … 美中 관세난타전

美 104% 부과에 中 84% 맞불 中, 10일부터 50% 추가 관세 위안화 절하 등 총반격 나서 EU도 "25% 보복관세" 참전 시장충격에 원화값 1480원대 ◆ 관세전쟁 ◆ 주요 2개국(G2) 간 관세 난타전이

n.news.naver.com

  • 중국,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총 84%의 '맞불 관세' 부과 
  • 미국이 중국에 총 104%에 달하는 관세를 물리자 기존 관세에 50% 덧붙여 
  • 트럼프 '지금이 당신의 기업을 미국으로 이전할 가장 좋은 시기' 
  • 중국 위안화 가치 급락, 미국 장기채 금리 급등 
  • 미 국채 30년물 금리, 4.997%까지 올라 

미쳤나... 

 

트럼프
매일경제

 

SK하이닉스 D램 글로벌 점유율 1위, 삼성 33년 만에 제쳤다

 

HBM이 판 뒤집었다 … 삼성 '33년 D램 절대강자' 자리 흔들

SK하이닉스 1분기 기준 D램 글로벌 점유율 1위로 2022년 챗GPT 열풍 확산에 AI 서버수요 폭발적 성장 "차세대 HBM에 미래 있다" SK하이닉스 무섭게 치고나가 제품개발 먼저 성공했던 삼성 시장 오판해

n.news.naver.com

  • 25년 1분기 D램 점유율 순위, SK하이닉스 36%로 1위, 삼성전자 34%, 마이크론 25% 
  • 삼성전자가 1위 놓친 것은 33년 만이다 

삼성...힘내라 제발... 

 

반도체 시장 예측 불가, AI 정체에 첨단 반도체 특수 장담 못해

 

공급망 불안에 반도체시장 예측불가…AI 정체에 첨단 반도체 특수도 장담 못해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 커져 HBM 필수 AI서버 수요 줄어 올 출하증가율 24.5%서 18%로 스마트폰 수요도 5% 역성장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라 반도체 업계에서 가격 인상이 시작

n.news.naver.com

  • 반도체는 상호관세 일단 제외지만, 메모리 모듈과 SDD 저장장치는 관세가 적용
  • 마이크론, D램과 낸드플래시 납품 가격 인상 알려 (관세 비용 증가분을 고객에게 전가한 셈)
  • '관세가 높아지면 인플레이션이 유발되고 소비자의 구매력이 침식될 수 있다' 
  • 시장조사업체, 'AI 서버, 일반 서버,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올해 출하 전망치를 낮춰 잡았다. 
  • ' HBM 수요는 여전히 탄탄하지만 전체 시장은 변수투성이다' 

 

반도체관세
매일 경제